광고

[속보]부천박물관 직원들, 도청에서 피켓 시위

2차 입장문 발표...부천시에 사태 해결 촉구 및 부천문화원 위탁 해지 요청

나정숙 기자 | 기사입력 2020/06/05 [20:35]

[속보]부천박물관 직원들, 도청에서 피켓 시위

2차 입장문 발표...부천시에 사태 해결 촉구 및 부천문화원 위탁 해지 요청

나정숙 기자 | 입력 : 2020/06/05 [20:35]
▲ 부천시박물관 한 직원이 경기도청에서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다.     © 부천시민신문


최근 박물관 운영과 전문 초대 관장 공모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시정을 요구해온 부천시박물관 일부 직원들이 5일 오전 경기도청에서 피켓 시위를 진행한데 이어 2차 입장문을 발표하며 부천시와 부천문화원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촉구했다.

 
직원들은 입장문에서 “부천시립박물관장 채용을 계기로 촉발된 금번 부천문화원 사태에 대한 부천시의 안일한 상황인식과 이를 호도하고 있는 부천문화원의 행태에 분노하며, 부천문화원의 배임·횡령, 갑질 등 불법·부당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물관 위탁 해지”를 주장했다.

 

이들은 “부천문화원의 그릇된 행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지난해부터 관리·감독기관인 부천시에 지속적으로 이에 대한 문제제기와 개선을 요구해왔음에도 불구하고 부천시와 부천문화원은 이번 사태를 박물관 직원들 간의 알력과 사익추구를 위한 갈라치기로 치부하고 있다”고 강하게 비판하고 “직원들 간 편가르기 책임은 업무가 아닌 관장(원장)과의 사적 친밀도와 충성도로 직원들을 평가하고, 동일 사안에 대해 이중적 잣대를 들이 댄 부천문화원과 이를 방기한 부천시에 있다”면서 스스로 돌아보고 자성하라고 말했다.

 

“우리의 일관된 주장은 배임·횡령, 갑질 등 부천문화원의 각종 부조리한 행태를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책임을 물으라는 것”이라고 밝힌 직원들은 “우리는 동료였던 신임 관장의 인격을 모독하거나 훼손할 의사가 추호도 없다”면서 “궤변과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일방적 주장이 아닌, 그동안 경험한 부천문화원의 행태에 비추어 상식에 기반해 합리적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지, 직원 간 알력과 사적 이기심으로 신임 관장의 선임에 대한 무조건적인 불신과 불만을 표출하는 것이 아님을 재차 천명한다”고 말했다.

 

덧붙여 “박물관장 채용 건은 그동안 우리가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한 부천문화원의 그릇된 행태와 부천시의 이해할 수 없는 관리·감독 행태의 연속선상에 있는 하나의 사건일 뿐 이번 사태의 본질이 아니라”며, 사태의 본질을 왜곡, 호도하고 있는 부천문화원과 부천시에 대해 재차 분노와 강한 유감을 표명하였다.

 

이들은 이어 “박물관은 사적 이익 추구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되며, 그러한 의미에서 부천문화원은 이미 그 자격과 자정능력을 상실했다”고 단언하고 “부천시는 이제라도 관리·감독의 책임을 통감하고 부천문화원의 배임·횡령, 갑질 등 불법·부당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물관 위탁을 해지할 것”을 촉구했다.  

 

▲ 지난 5월 29일 오후 박물관 직원들이 운영 문제를 지적하며 개선을 촉구하는 항의 시위를 시작했다.     © 부천시민신문

 

[2차 입장문 전문]

 

비리의혹의 온상 부천문화원과 직무를 유기한 부천시는 대의에 기반한 우리의 선의와 진심을 왜곡·호도하지 말라!

 

부천시립박물관장 채용을 계기로 촉발된 금번 부천문화원 사태에 대한 부천시의 안일한 상황인식과 이를 호도하고 있는 부천문화원의 행태에 대해 분노하며, 일부 언론의 편향된 시각에 대하여도 강한 유감을 표하는 바이다.

 

부천문화원의 그릇된 행태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며 지난 해 부터 관리·감독기관인 부천시에 지속적으로 이에 대한 문제제기와 개선을 요구해온 것은 변하지 않는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천시와 부천문화원은 이번 사태를 박물관 직원들 간의 알력과 사익추구를 위한 갈라치기로 치부하고 있다.

 

직원들 간 편가르기 책임은 업무가 아닌 관장(원장)과의 사적 친밀도와  충성도로 직원들을 평가하고, 동일 사안에 대해 이중적 잣대를 들이 댄 부천문화원과 이를 방기한 부천시에 있음을 분명히 하고자 하며, 오늘에 이르기까지 스스로를 돌아보고 자성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우리의 일관된 주장은 배임·횡령, 갑질 등 부천문화원의 각종 부조리한 행태를 제도적으로 개선하고 책임을 물으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우리의 정당한 요구는 공허한 메아리에 불과했음을 이번 박물관장 채용을 계기로 절감하게 되었다.

 
우리는 주관적인 잣대로 동료였던 신임 관장의 인격을 모독하거나 훼손할 의사가 추호도 없음을 분명히 밝히며, 현재 특정감사 진행 중이고 각종 언론매체에서 주목하고 있는 부천문화원의 부정행위에 연루된 인사가 신임관장으로 임명된 과정에 대한 합리적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부천문화원과 부천시는 사태의 본질을 직원들 간 알력으로 왜곡, 축소, 책임전가, 호도하지 말고 합리적 의문에 대해 답해야 한다. 우리는 부천문화원과 부천시가 시행한 박물관장 채용과정 전반에 대한 진실을 알지 못한다. 다만, 궤변과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일방적 주장이 아닌 그동안 경험한 부천문화원의 행태에 비추어 상식에 기반하여 합리적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지, 직원 간 알력과 사적 이기심으로 신임 관장의 선임에 대한 무조건적인 불신과 불만을 표출하는 것이 아님을 재차 천명하는 바이다.

 

또한 박물관장 채용 건은 그동안 우리가 지속적으로 문제 제기한 부천문화원의 그릇된 행태와 부천시의 이해할 수 없는 관리·감독 행태의 연속선상에 있는 하나의 사건일 뿐 금번 사태의 본질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자 하며, 사태의 본질을 왜곡, 호도하고 있는 부천문화원과 부천시에 대해 재차 분노와 강한 유감을 표명하는 바이다. 

 
우리는 박물관인으로 부천시박물관을 그 누구보다 사랑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박물관인으로 살아 갈 것이다. 그러한 우리의 확고한 신념이 새로운 도약과 비상을 준비하고 있는 부천시박물관에 대해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고 권위와 명예를 실추시켰다는 도덕적 비난을 감내할 수 있는 이유이자 대의(大義)의 기반이다.

  
박물관은 사적 이익 추구의 대상이 되어서는 아니 되며, 그러한 의미에서 부천문화원은 이미 그 자격과 자정능력을 상실하였다. 따라서 부천시는 이제라도 관리·감독의 책임을 통감하고 부천문화원의 배임·횡령, 갑질 등 불법·부당한 행위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물관 위탁을 해지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현재 부천시립박물관 운영과 부천문화원 위수탁 운영, 위수탁 운영 기관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부천시립박물관 직원들 사이에 의견이 양분돼 엇갈리고 있어 본지에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일부 직원'이라 표기합니다. 앞으로도 전체 직원의 일치된 의견이 아닐 경우 '일부 직원'으로 표기하겠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바랍니다.  

 

  • 도배방지 이미지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이동
메인사진
박미현 시인, 화가로 데뷔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