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는 반복된다. 그래서 어느 영화의 제목처럼 ‘그 때는 맞고 지금은 아닐’ 수도 있다.
불과 1년 앞을 예측하지 못한 행정의 잘못이었건, 광역동(?)을 공약으로 추진한 선출직 시장의 무지였건 시민의 불편과 고통은 매한가지다. 이번 사태는 관계 당국인 선거관리위원회와의 치밀한 규정 검토나 긴밀한 협의가 전혀 없었음이 분명히 드러난 것이다. 정작 ‘시민이 시장입니다’나 ‘내 곁의 시장’라는 구호가 얼마나 헛된 공약이었고 무망했던가가 극명하다.
돌이켜보면 이 사단(事端)은 시작부터 조짐을 안고 일방적으로 추진된 선거용 프로젝트(?)였는지도 모른다. 우선은 시민의견 수렴이 전혀 없었다. 그저 이익의 직접 당사자인 공직자들만 전폭적 찬성이었다. 그 결과로 고위직 자리가 대폭 증가되었으니 말이다. 해서 그 당시 공복(公僕)이라는 시장과 도·시의원을 비롯해 국회의원까지 모두의 책임이고, 벗을 수 없는 잘못이다. 일은 저질러졌고 감당은 시민의 몫이다.
그 때는 그렇게 예측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너무 쉽게 여겼거나 일당 독주의 오만이 낳은 예정된 자업자득(自業自得)이고 자작자수(自作自受)다. 그런 사례가 그뿐일까? 부천시의 경찰서, 선거관리위원회 외에도 많은 행정과 관련된 조직체계가 구(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움직이고 있는 것도 시민의 입장에서는 매우 불편하고 한없이 복잡하다. 행정편의주의의 본보기이다.
불과 1년도 안 되서 문제가 드러났다면 되돌려야 한다. 더 이상 소모적인 명분이나 무해한 규정을 들어 수정(修正)을 머뭇거리는 건 또 하나의 책임회피를 넘어 죄를 범하는 것이다. 어려울 것이다. 이미 저질러진 일은 깊고 무겁지만 그러나 시간에게 맡길 일은 맡기고 피해 당사자인 시민에게 솔직히 잘못을 고백해야 한다. 지금도 광역동의 불편함에 대한, 들리지 않는 시민의 원성은 크고 높다.
가보지 않은 길은 개척과 희망을 담보해야 하고 먼저 그 결과에 대해서는 책임의 공유(共有)가 필요하다. 혼자 가야하는 먼 길보다는 함께 하는 위험한 계획이 더 큰 내일의 이룸이기 때문이다. 과거의 실패를 반복한다는 건 무지이거나 구태(舊態)벗기를 거부하는 오만의 결과이다. 시민은 자연적으로 성립된 천심(天心)인 이유이다. 바람 거센 바다에서의 배와 바람의 다툼은 이미 다툼이 아니다. <저작권자 ⓒ 부천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선관위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많이 본 기사
|